본문 바로가기
Study/Design

개발 프로세스의 변화

by ooyu 2022. 3. 31.

 

기존에는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밟아 진행하는 워터풀(Waterfall) 방식으로 진행해 왔다.

워터풀 프로세스는 빠르게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한 사이클을 도는데 두, 세 달의 긴 시간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로 프로세스가 변화했다.

 

소규모 그룹의 프로젝트 (게릴라 프로젝트)

메이저, 마이너 업데이트와는 별도로 진행되는 '소수 인원'으로 이루어진 '미니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빠르게 결과물을 받아보고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걸친다.

 

1. 스펙 제안

각 파트에서 생각하는 새로운 기능(=스펙) 등에 대해 자유롭게 공유하고 회의를 소집한다.

 

2. 게릴라 회의 진행

소수의 인원 즉, 각 파트의 대표(=각 파트의 PL)만 모여 빠르게 의사결정을 진행한다.

 

3. 미니 프로젝트 결성

새로운 기능이 유의미하다고 판단될 경우 미니 프로젝트로 진행한다.

소수의 멤버만 참여하며, 선 시나리오/ 후 개발 및 디자인 프로세스는 지양한다.

최소한의 시나리오(대표 화면)를 공유하고, 대표 화면을 바탕으로 모든 파트가 병렬로 진행한다.

각 파트 별로 업데이트가 있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빠르게 공유하고 상세 시나리오는 개발 프로토타이핑 및 논의가 일정 수준으로 완료된 후에 작업을 진행한다.

 

4. 업데이트 스펙에 추가

완료 후에는 메이저 또는 마이너 업데이트에 포함시킨다.

 

 

스케치 수준의 설계 공유 (대표 화면 공유)

시나리오 공유 시점 변화 방식으로 완결성 있는 설계문서를 기다리지 않고 병렬적으로 진행하는 형태다.

시나리오가 완료될 때까지 개발 및 디자인 파트가 기다리는 게 아니라, 대표 화면부터 빠르게 공유함으로써 개발과 디자인이 병렬로 빠르게 시작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표 화면이 어느 수준 이상으로 완료되면 QA 상세 시나리오 작업을 진행한다.

상세 시나리오가 나오기 전까지 개발과 디자인은 각자 진행하기 때문에 리뷰 과정이 아주 중요하다.

모든 의사결정권자가 모인 주간회의 시간을 활용해 리뷰를 진행하고 의견을 받아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방식을 문서 작업 최소화 형태로 변화한 형태로 빠른 공유와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표 화면을 우선적으로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과 디자인을 병렬로 진행하는 부분은 스케치 수준의 설계 공유와 동일하나, 주요 동선과 내용을 프로토타이핑으로 제작해 시나리오를 공유하는데서 차이가 있다.

상세 시나리오 문서는 필요한 정책, 주요 테스트 내용 등 필요한 내용만 기입해 문서를 최소화한다.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디자인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으며 개발 중인 서비스의 테스트와 검증이 가능하고 제대로 만들고 있는지 지속적인 확인이 가능하다.

인터렉션을 삽입해 제작한 프로토타이핑은 협업 관계자들의 이해를 빠르게 도울 수 있다.

프로토타이핑과 최소화된 문서는 프로젝트를 효율적이고 빠르게 진행하는데 도움이 된다.

 

Tip. 프로토타이핑 제작 시 유의사항

프로토타이핑 제작 시 페이지 단위의 연결만 보는 게 아니라 상황에 맞는 올바른 도구를 사용하는 게 중요하다.

프로토타입의 본래 취지가 빠른 테스트와 피드백인 만큼 팀원과 함께 반복적으로 테스트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토타입의 원래 취지처럼 빠르게 만들고 버려질 수 있는 것이 중요한데 완벽한 프로토타입을 만들기 위해서 시작이 지연된다면 프로토타이핑을 하지 않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UX 디자인의 프로세스는 문서를 최소화하고,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UX 디자이너의 역할도 프로토타이퍼 또는 프론트 앤드 개발자의 역할과 역량까지 요구받고 있다.

다행히 프로토타이핑을 할 수 있는 도구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프로젝트 상황에 맞는 적절한 프로토타이핑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Study >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프터 이펙트 Keylight  (0) 2022.04.14
CX (Customer Experience)  (0) 2022.04.01
Figma  (0) 2022.03.14
레이아웃 & 그리드시스템  (0) 2022.03.03
프로토 퍼소나  (0) 2022.02.27

댓글